한국 민간소비 증가율 0%대, G7 '6분의 1' 수준
韓민간소비 증가율0%대 '뚝'…G7 '6분의 1' 수준
韓민간소비 증가율0%대 '뚝'…G7 '6분의 1' 수준, 경제
www.hankyung.com
1일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의 자체 집계 자료에 따르면,
지난해 3분기 국내 민간소비(불변가격) 증가율
전년 동기 대비 0.2% 증가
이는 주요 7개국(G7-미국,일본,독일,영국,프랑스,이탈리아,캐나다) 평균 소비 증가율의 6분의 1 수준.
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년 4분기 6.4% 줄어든 뒤로
2년 3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.
21년 4분기 6.1%로 정점 찍은 뒤
작년 1분기(4.6%)까지 높은 증가율 유지했으나
2분기 1.5%, 3분기에 0%대로 내려앉음.
긴축 기조에 따른 소비 둔화는 전 세계 공통된 모습이지만
한국의 더딘 회복세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더 뚜렷함.
>G7 국가의 작년 3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1.2%로 한국의 6배.
>G7의 평균 소비 증가율을 상회했지만 최근 둔화세 뚜렷해지면서
1년 반 만인 작년 3분기 다시 G7에 추월당함.
>OECD 38개 회원국 평균(1.5%)에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.
더딘 민간소비 회복세 원인 추측
>2022년에 상대적으로 높았던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
>고금리·고물가 장기화 기조
전망
>세계 주요국과 한국 간 소비 심리 온도차 새해에도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임.
>미국 ·유럽 등은 최근 물가 안정세-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 상승
(파월 금리 인상 종결 시사 후 소비 심리 살아나는 모습)
>한국 최근 물가 상승률 둔화에도 더딘 속도 탓, 여전히 소비 제약 요인.
작년 물가상승률 3.6%로 여전히 높은 수준.
>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11월 기준금리 동결 직후 기자회견에서 "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인 2%로 충분히 수렴한다는 확신이 있을 때까지 (긴축기조) 지속하겠다"며 현실적으로 6개월보다는 더 길어질 것"이라고 함.